본문 바로가기

NEWS/news_Value Investing

[뉴스스크랩][매일경제]뉴욕상장 그리스기업, 한국 상륙한다

뉴욕상장 그리스기업, 한국 상륙한다

선박회사 7곳 첫 유치 추진…시가총액 4조원대

자금조달 목적…국내산업 시너지 기대


기사입력 2012.06.13 17:47:17 | 최종수정 2012.06.13 18:04:38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한 그리스 선박회사들이 주식예탁증서(DR) 형태로 국내 증시에 2차 상장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성사되면 한국거래소가 수년간 공들여온 뉴욕 증시 상장 우량 기업의 국내 첫 유치 사례라는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갖게 된다. 


13일 거래소와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거래소는 최근 미국 NYSE에 상장한 그리스 선박회사들을 DR 형태로 국내 증시에 상장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NYSE와 협의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아테네 증시에 상장한 그리스 기업의 국내 증시 상장 추진은 일부 보도된 적이 있지만 뉴욕 증시에 상장된 그리스 선박회사의 국내 2차 상장 추진은 처음 나온 얘기다. 


거래소 국제업무실 관계자는 "뉴욕 증시에 상장된 그리스 선박회사들의 국내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며 "NYSE 측과 논의를 시작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거래소는 지난 8일 대우증권, 삼성증권, 우리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신한금융투자 등 주요 증권사 IB 담당 임원들을 모아놓고 상장 일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계획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일단 거래소는 국제업무실을 중심으로 주요 증권사들과 함께 NYSE에 상장된 그리스 선박회사의 한국 증시 2차 상장 작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하고 이달 중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현재 NYSE에 상장돼 있으면서 국내 2차 상장을 논의 중인 그리스 선박회사는 다이애나시핑, 나비오스마리타임파트너스, 나비오스마리타임홀딩스, 세이프벌커스, 엑셀마리타임캐리어, 다나오스코퍼레이션, 파라곤시핑 등 모두 7곳으로 이들의 시가총액을 합친 금액은 4조원대에 달한다. 이들 기업은 2008년 금융위기 사태와 최근 유럽 재정위기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IB 업계 관계자는 "NYSE에 상장된 그리스 선박회사들은 주가수익비율(PER)이 낮게는 2~5배 수준에 머무르는 등 투자 잠재 가치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이번 건은 유럽발 금융위기 여파로 자금줄이 막힌 그리스 기업들을 한국 증시에 상장시켜 추가 자금 조달을 하겠다는 목적이 큰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 측에서 먼저 한국거래소에 2차 상장 가능성을 타진해와 추진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리스 선박회사의 국내 상장 추진은 거래소가 수년간 공들여온 글로벌 우량 기업 유치 작업의 첫 열매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번에 2차 상장을 추진 중인 그리스 기업들은 지금까지 국내 증시에 상장된 중국 등 외국 기업들과는 규모와 회계 투명성 등 여러 면에서 차원이 다른 우량 기업들로 볼 수 있다"며 "국내 증시의 해외 기업 유치에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여기에 조선 분야 세계 1위인 국내 증시에 세계 최다 선박 보유 국가면서 선박을 가장 많이 발주하는 그리스 선박 관리 회사들이 상장하면 산업적 측면에서 작지 않은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는 분석이 많다. 김홍균 동부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해운 시장에서 그리스 선박회사들이 미치는 높은 영향력을 감안할 때 국내 증시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 관심 확대는 물론 중국 등으로 나간 그리스 선주들의 발주 물량 중 일부를 국내 조선 업계로 돌리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박용범 기자 / 강두순 기자] 




DR이란, 간단히 말해 자금조달을 위한 유상증자의 한 형태로 보면 무리가 없다. 시장에 주식을 신규로 발행해서 자본을 확충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가장 큰 차이라고 하면 주식을 신규 발행하는 '시장' 이다. 즉 기업이 상장되어 있는 본래의 시장이 아니라, 해외 증시 등의 다른 시장에 DR(주식예탁증서)이라는 형태로 상장시켜서 증자를 추진한다는 점이다.


기업의 규모가 크거나 증자의 규모가 큰 등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거나, 혹은 국가별로 증시에 대한 상대적 강도가 달라 기업에 대해 후한 가격을 쳐 주는 다른 시장이 존재할 때 기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자본의 유입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러한 방법을 시행한다. 장기적으로는 저평가 받고 있는 주가의 리레이팅(재평가)으로 기업가치의 제고도 가능하다. 또한 DR의 성공적인 발행은 그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이나 인지도가 있다는 간접 지표로서의 효과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