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news_Nature & Wellbeing

물은 얼마나 될까요?


우리는 지구 표면의 70% 가량이 물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구상에서 물이 넘쳐날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상은 그와 다릅니다.

실상은 어떤지 확인해 볼까요? 

아래 그림을 보시죠.



그림을 보면 바짝 말라있는 지구가 보이고, 북미 대륙쪽에 파란 물방울이 하나 그려져 있는데 바로 이것이 지구 전체의 물의 양을 표시한 것이라고 합니다. 물론 이 물에는 해수와 담수를 포함해서 대기중의 수분, 지하 대수충의 물, 얼음상태로 있는 수분, 게다가 우리를 포함한 생물체에 포함된 수분까지를 모두 합한 것입니다. 예상했던 것과는 많이 다르지 않나요?^^


그렇다면 담수(liquid fresh water)의 양은 얼마나 될까요? 큰 물방울의 오른편에 보이는 작은 물방울이 담수의 총합계를 나타낸 것이라고 합니다. 여기에는 지하수(groundwater), 호수와 강(Lakes and Rivers), 슾지(swamp) 등의 물이 모두 포함된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담수의 99% 마저도 대부분이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하수의 형태로 존재한다고 하네요.


이제 눈을 크게 떠야 합니다. 작은 물방울 아래에 티끌같은 파란 점이 보이시나요? 바로 이것이 실제로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전부라고 합니다. 이는 담수 전체 중 접근이 어려운 지하수와 습지를 제외한 담수(호수와 강)의 총량을 물방울로 표시한 것입니다. 우리가 쓸 수 있는 물의 양이 이정도 밖에 안된다니 정말 놀랍지 않나요? 


소중한 수자원, 아끼고 보전해야 하겠습니다^^




(위 이미지와과 정보는 USGS에서 발췌해 왔습니다.)


[원문보기]



※ 유명한 칼 세이건의 말을 덧붙입니다.

"지구가 만약 지구본만하다면, 대기가 차지하는 두께는 광택제만큼밖에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