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news_SRI

[페이스북]한화 이슈에 대한 소견

봉 팀장님께서 쓰신 글..아마 투자업계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공감할 만한 이야기라고 생각된다.

많은 사람들이 이렇듯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지만, 사실 그에 대한 해법이 될 수 있는 책임있는 투자(SRI)라는 개념은 우리에게 아직까지 생소하다.
간단하게 이 SRI를 설명하면 투자를 함에 있어 ESG, 즉 
E(Environment), 
S(Society), 
G(Corporate Governance)의 
세 가지 측면을 고려한 투자를 말한다. 

그래서 SRI투자주체들은 봉 팀장님이 언급하신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측면에서도 우수한 기업을 높이 평가하여 이러한 기업에 투자하거나, 혹은 기업의 ESG 측면을 더욱 개선시키는 활동을 겸한다. 이를 통해 장기적이고 혹은 지속적인 수익을 도모하는 것이 SRI투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선진국의 경우, 특히 연기금의 경우에는 사회적 측면을 고려한 SRI투자 방식이 지배적인 경우도 있다.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우리 나라 역시 연기금의 일부 자금을 SRI관점에서 투자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적극적인 SRI를 한다고 하기에는 흉내만 내는 수준에 불과하다. 이들은 SRI관련 점수를 고려하여 투자를 하고 있지만, 그것이 아직까지는 '필요조건'으로만 치부되는 것이 현실이며, 시장지수와 대동소이해서 뚜렷한 차별화가 되고 있지도 않다.

연기금이 이러할 진대, 그보다 적은 규모의 투자주체라고 크게 다르진 않다.
국내 투자자문사 중에 본격적인 사회책임투자(SRI)를 주창하는 투자회사는, 내가 아는 한 전무하다. 가장 큰 요인은 물론 단기적인 실적을 추구하는 업계의 실상, 그간의 고정관념, 수익구조, 국내 기업 들의 관행 등의 구조적인(systematic) 문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를 모두 시스템의 탓으로 돌릴 수만은 없다. 결국 그 구조를 형성하고 변화시킬 힘을 가진 것이 바로 구성원 자신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혁신이 처음부터 파급효과가 큰 경우는 거의 없었다. 항상 큰 저항이 있어왔다. [Crossing the Chasm (캐즘 마케팅)], [Tipping Point(티핑 포인트)], [Purple Cow(보랏빛 소가 온다)]등의 책에서 이야기 하는 '기술수용주기'의 개념을 보면, 극소수의 혁신자(Innovator)에서 시작하여 소수의 초기수용자(Early Adopter)를 거친 이후에야 비로소 대중(Majority)의 큰 시장으로 판이 옮겨갈 수 있다고 한다. 한마디로 수많은 혁신적인 기술이나 사상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기까지 큰 간극( 이 간극을 '캐즘(Chasm)' , '티핑포인트(Tipping Point)' 또는 '임계점(Critical Point)'라고 부른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무수히 많은 혁신적인 사상과 기술들이 일반화될 가능성은 극히 크지 않다. 하지만 이를 뒤집어 생각하면, 지금은 일반화된 혁신적인 기술과 사상들도 일부 소수에 의해 꽃피워 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양보다 질이 훨씬 중요하다는 의미도 될 수 있다.

내가 가고자 하는 길이 바로 SRI의 일반화를 위한 Early Adopter가 되는 것이다. 가급적 많은 사람들에게 이를 알리고, 나누고, 함께 발전시켜 SRI를 일반화하는 것, 그리고 그로 인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공헌하는 것이다. 물론 쉽지 않겠지만, 그래서 그만큼 더 가치있는 길이 아닐까 한다. 

이제 기존의 투자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이 변해야 한다.
. 투자는 가치 중립적이지 않다.
. 투자는 금전적인 수익 이외의 다양한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다.
. 투자는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데 일조할 수 있다.
. 그리고 그렇게 투자해도 결코 손해보지 않을 수 있다. 
. 오히려 그것이 장기적으로는 좋은 결과를 창출한다.

이러한 SRI 투자자들의 철학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아마 다음과 같을 것이다. 
"Profit With Purpose!"




(원문 : http://www.facebook.com/permalink.php?story_fbid=249973628409989&id=100002899798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