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크랩][한겨레]“제품 살때 기업 사회공헌 고려” 55.7%
“제품 살때 기업 사회공헌 고려” 55.7% | |
한겨레경제연 조사…3년전보다 높아져 77.4%가 “사회공헌 활동 여전히 부족” |
4일 한겨레경제연구소가 내놓은 ‘국내 대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일반인 인식조사’를 보면, 기업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 응답자의 77.4%가 ‘대체로 부족’ 또는 ‘매우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이런 응답은 3년 전에 실시한 같은 내용의 조사에서 나온 76.4%에 비해 나아지지 않은 것이다.
제품을 구매할 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다는 대답(55.7%)이 3년 전(43.5%) 조사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특히,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겠다’(55.0%→59.6%)보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는 구매 검토 항목에 올리지 않겠다’(42.9%→51.1%)고 답한 비율이 큰 폭으로 늘었다. 이는 사회공헌활동을 비롯해 사회적 책임에 소홀한 기업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내용과 관계없이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조사는 한겨레신문사 부설 한겨레경제연구소가 올해 1월 6일부터 2주간 ‘리서치플러스’에 의뢰해 서울 등 전국 광역도시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결과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해 알고 있는 국민의 비중은 지난 조사에 비해 30%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가운데 ‘매우 잘 알고 있다’ 또는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 비율이 68.3%에 달해, 3년 전 51.6%에 비해 약 16.7%포인트 높아졌다.
또 ‘기업이 어떤 사회공헌 활동에 힘써야 하는지’에 대해 응답자들은 ‘일자리 창출’에 좀 더 관심을 가져줄 것을 요구했다.
이번 조사를 주관한 한겨레경제연구소 이현숙 부소장은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기대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며 “기업들이 좀 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소통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등 사회공헌을 경영의 핵심 화두로 삼아야 할 때”라고 밝혔다. 서재교 한겨레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